< 'SAP GUI 730'와 로그인 이후의 Main 화면 >



(공지) 해당글은 2016 년도에 쓰인 글이며, 실습환경 설치가 불가합니다. 실습환경이 필요해서 이글을 찾아오신 분들은 2019 년도, 올해 작성한 글인 아래 링크로 이동해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19 년도 공지사항 : https://tsdmoai.tistory.com/29  





SAP 실습 환경 구축하기 (1)


이 글을 시작으로 SAP 실습환경을 유료로 얻는 방법과 3개월 간의 Trial을 이용하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런 글을 작성하게 된 계기는, 얼마전 SAP를 배우고는 싶지만 방법을 알지 못하고, 비싼 비용과 높은 진입장벽에 갈길을 잃은 취준생들에게 문의 메일을 받았기 때문이다. 가난했던 대학시절 SAP 라는것의 비싼 비용과 높은 진입장벽에 무릎을 꿇었어야 했던 아픈 기억이 되살아 났고, 이들과 앞으로 SAP를 공부하고자 하는 분들에게 어떻게든 도움이 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일지 고민한 결과이다. 얼마나 걸릴진 모르겠다. 하지만 이번에는 SAP 실습환경 구축을 끝까지 해내고자 한다. 또한, SAP를 배우고자 시작하는 학생들에게 이 포스팅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SAP를 처음 접하면서 가장 어려운건 뭘까? 바로 'SAP 실습환경'을 얻는 것이다.


아무리 책으로 어떻게 다루는지 배워도 프로그램에서 메뉴를 들어 가보고 실행을 해보는 거는 천지 차이다. 특히 SAP는 기업의 업무 Process가 담겨있고 업무의 흐름과 함께 작동하는 ERP 이기 때문에 더욱 그러하다. 내가 처음 SAP를 접하기까지 2년이 걸린 이유도 90%가 이 부분이다. SAP를 다루어 업무를 보는 사람도, SAP ABAP 이라는 언어를 다루어 개발 Skill을 얻고자 하는 개발자도, 결국엔 '실습환경' 혹은 'SAP 환경'이 없다면 어떻게 Skill UP을 할 수 없는것이다. 실습을 해보고 어려우면 포기라도 할 수 있다. 하지만 SAP는 실습환경을 얻는거 에서 부터 난관에 봉착하게 되고, 이는 새롭게 진입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진입장벽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는 SAP 사에서 관리하는 라이센스 정책이 한몫하는거 같다.

예로써 SAP가 설치 되어 있는곳은 권한을 관리하는 사람이 있다. 대부분 'BC'라 불리는 이들은 서버와 기타 인프라를 책임지는 사람들이다.

개발이나 유저들이 접속하기 위해 ID나 권한을 요구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다른 개발 환경에서는 BC가 허용하면 접속이 가능해진다.

하지만 SAP는 본사에 라이센스를 요청해야만 한다. 즉, 어디에 SAP가 설치 되어 있는지, 어떤 사람들이 접속하는지까지 관리를 당한다는 뜻이다.


이 말고도 이유는 참 많다. 교육환경이 추가로 구축 되어 있어야 한다던지, 실습을 하려 해도 Standard 쪽을 건드리면 프로그램 내에서도 권한이 필요한 경우도 있고, 정말 배우면 배울수록 산넘어 산인 경우가 많다.



그렇다면 SAP를 배우거나 다루기 위해 어떤 방법이 있을까? 내가 정리한 방법은 4가지다.



1. SAP를 사용하고 있는 기업에 취직한다.


위에서 설명했듯이, 개발도 운영도 환경이 있어야 가능하다. 기존에 SAP가 설치 되어 있는 회사라면 환경이 구축되어 있을것이고, 업무와 함께 많은것을 배울 수 있을것이다. 그러나 가장 좋은 방법이지만 가장 어려운 방법이기도 하다. 일단 SAP 환경을 갖고 있는 기업은 규모가 꽤나 있는 회사인 경우다 대다수이다. 그 이유는 설치에 따르는 막대한 개발비용과 운영에 따르는 유지보수 비용 때문이다. 간단한 예로 국내 SAP ERP는 '삼성그룹' 의 경영혁신의 일환으로 시작되었다. SAP KOREA도 삼성의 Project 시작과 설립되었다. 그 뒤로 비용을 감당 할 수 있는 대기업과 중견기업 들이 하나둘 설치 하기 시작하여 지금의 SAP 시장이 형성된것이다. 고로 취업을 통해 SAP를 접할 수 있는 방법은 SAP 환경이 구축된 대기업이나, 중견기업에 취업하는 것이다. 취업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면 가장 쉬운 방법이지만, 그렇지 않다면 가장 어려운 방법이다. 



2. 비용을 지불하여 유료서버 이용권한을 구매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본적이 없지만, 외국에서는 실습환경을 구축해놓고 접속할 수 있는 권한을 주,월 단위로 판매하는 사이트들이 있다.

내가 이용해본 서버는 한달에 $70 정도 였다. 초보자 였기 때문에 겉으로 다룰 수 있는 부분만 다뤄 봤었다. 고급 ABAP 스킬이나, 고급 운영으로 넘어 갔을때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을지는 모르겠다, 하지만 다양한 서버 벤더들을 평가한 글에서 가격대비 좋은 서버로 소개 되어 있었기에 구매를 결심하게 되었다. 해외의 평가글의 링크를 찾는데로 추가 하겠다. 구글에 검색해도 나올것이다. 가격대비 서비스를 잘 고민하여 구매 하도록 하자. 참고로, 내가 이용한 사이트는 http://www.idesaccess.com/ 이다.http://idesremote.com/ 라는 사이트도 있는데 이곳은 하루 Trial을 제공하는거 같다. 써보고 결정하실 분은 이곳을 이용하고, 'buy SAP IDES access' 으로 구글링 해도 많은 정보가 나오니 참고하도록 하자.



3. SAP Korea 교육센터의 교육상품을 이용한다.


SAP Korea 에서는 각종 모듈별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하지만 백만원 단위의 비싼 비용으로 인해 이또한 여유치 않다. 사람들이 비싼 비용을 지불하고 이 교육에 참여 하는 이유는, SAP 자격증을 취득하려면 시험에 응시 할 수 있는 권한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 교육과정에 참여 후 제공되는 인증을 위해 PP 모듈 컨설 과정기준으로 250 정도이고 시험보는데 55만원이니까 대략 300만원을 소비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교육용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권한이 주어지게 되는데... 이 방법은 취업하고 자신의 역량을 높이고자 할때 생각해보도록 하자.



4. SAP에서 제공하는 Trial 버전의 패키지를 이용하자.


결국에는 무료로 이용할 방법은 없는것인가.. 고민에 고민을 거듭해 찾아낸 방법이 바로 SAP 에서 제공하는 Trial 버전을 이용하는것이다.

물론, 배고프고 주머니가 가벼운 대학시절 이미 도전했던 방법이다. 하지만 서버설정에서 부터 패키지 설치 까지.. IT 비전공자가 SAP에 대한 이해 없이 무작정 덤벼 들었다가 수많은 오류를 해결하지 못하고 포기했던 기억만 남아 있다. 하지만 얼마전 이 방법으로 서버를 구축했고, 직접 이용하여 ABAP을 공부하고 있는 조력자를 만나게 되었다. 3개월 동안만 이용할 수 있는줄 알았는데 다른 편법으로 더 오래 이용할 수 있는 방법도 알게 되었다. 이 방법을 통해 실습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는 확신을 갖게 되었다. 다음 포스팅 부터 서버 설치에서 부터 패키지 설치까지 차근차근 알아보도록 하자. 


이 포스팅과 같은 내용의 해외 사이트를 공유한다. 관련 내용을 앞서 얻고 싶은분은 참고 하도록 하자.

https://www.sappack.com/how-to-get-your-own-sap-demo-and-training-system/



To be continued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